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8100
상반기 주택건설 19만가구…작년보다 25% 늘어·서울은 12.5% 감소
건설교통부는 올 상반기 중 전국의 주택건설 물량(사업승인 및 건축허가 기준)은 총 19만1548가구로 지난해 동기15만3664가구에 비해 24.7% 늘었다고 29일 밝혔다. 그러나 서울은 재건축 규제 등의 영향으로 이 기간 건설물량이 12.5%감소했다.
지역별 건설물량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이 전체의 41.5%인 8만4471가구로 지난해 동기 5만9687가구에 비해 41.5%나 증가해 주택건설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하지만 서울은 1만7705가구로 지난해 2만237가구보다 줄었다.
지방은 10만7077가구로 지난해 동기 대비 13.9%늘었다.
주택유형별로 아파트의 경우 수도권이 지난해 동기대비 62.5%늘어난 7만8238가구, 지방이 27.7% 증가한 9만1766가구 등 총 17만4가구로 전체적으로 41.7%증가했다. 이에 비해 다가구 및 다세대주택 건설물량은 총 2만1544가구로 36%줄었다. 수도권이 6233가구, 지방 1만5311가구로 지난해 동기대비 각각 46.0%, 30.7%감소했다.
서울은 아파트 1만5045가구, 다세대 및 다가구 2660가구로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각각 3.9%,42.0%줄었다.
건교부 관계자는 “이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올해 주택공급 목표 52만가구 달성은 무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6월 전국의 건축허가 면적은 856만9000㎡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26.4%, 전달에 비해 27.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최근 5년간 평균과 비교해도 33.8%줄어든 것이다.
용도별로는 주거용과 상업용이 1년전보다 각각 31.4%, 45.6% 감소한 반면 공업용은 25.4%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7.2%나 급감했고 지방도 6.8% 줄었다.
건교부는 “건축 허가면적이 감소한 것은 땅값 상승으로 인해 업체들이 택지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각종 주택시장 안정조치로 관망세로 돌아섰기 때문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