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8950
주상복합 아파트 상승폭 둔화
8월 정부의 부동산 종합대책을 앞두고 주상복합아파트들의 상승세도 주춤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7월 수도권 주상복합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1.71%로 6월(3.61%)에 비해 1.90% 포인트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77%(6월 3.20%), 신도시 1.64%(6월 5.20%), 경기 0.62%(6월 0%)를 기록했다.
서울에서는 특히 강남구가 6월 5.31%에서 이달 2.10%로, 서초구는 5.26%에서1.76%로 상승률이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 타워팰리스 등은 평형별로 3천만-4천만원 오르는데 그쳐 타워팰리스2차48평형은 13억2천만-14억4천만원, 67평형이 18억4천만-20억원 선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달(0.03%)보다 상승률이 소폭 오른 영등포구(1.12%)는 여의도동 대우트럼프월드1,2차 전 평형이 2천만~6천만원 올랐다. 그러나 매물은 많지만 매매가가 높아거래는 활발하지 않았다.
반면 용산구는 한강로2가 벽산메가트리움에 매수자들이 다소 모이면서 지난달 0.
86%에서 이달 4.77%로 크게 뛰었고 양천구는 7차 동시분양에 참가한 목동 트라팰리스의 영향으로 1.45%에서 2.80%로 상승폭이 커졌다.
신도시에서는 분당이 정자동, 금곡동, 야탑동 일대 주상복합아파트가 1천만-6천만원 오르는데 그쳐 1.64%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6월 분당 주상복합 아파트의 가격변동률은 5.20%였다.
닥터아파트 이영호 리서치팀장은 "8월 정부의 부동산 종합대책 발표를 앞두고전체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가운데 그동안 가격이 많이 오른 주상복합 아파트도 크게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