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8340
입법·사법·행정·기업 고위층 집 많이 샀다
입법·사법·행정·기업 고위층 집 많이 샀다
20대 후반 공격적 주택구입, 30대 절반이 자기집 소유
전세.월세 살면서 주택구입 가구 크게 늘어
입법.사법.행정부의 고위급 공무원, 기업의 임원 등 한국사회의 상층부 그룹이 지난 2년간 주택을 많이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대 후반의 연령층이 지난 2년간 주택을 공격적으로 사들였으며 30대의 자기 주택 소유비율은 50% 정도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와 월세를 살면서 다른 곳에 자기 집을 사놓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도시가구를 대상으로 직업별, 연령대별, 주거형태별 주택소유가구 비율을 조사한 결과 이렇게 나왔다.
◇ 고위급 인사 소유비율 상승폭 가장 높아
도시가구의 전체 평균 주택소유비율은 지난 1.4분기에 65.09%로 2년전인 2003년같은 분기의 62.03%에 비해 3.06%포인트가 올라갔다.
가구주의 직업군별로는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그룹의 주택소유비율이 84.08%로 2년전 같은 분기의 77.40%에 비해 6.68%포인트나 올라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 그룹의 소유비율은 2003년 2.4분기 78.39%, 3.4분기 81.38%, 4.4분기 80.29%,2004년 1.4분기 82.46%, 2.4분기 81.45%, 3.4분기 84.15%, 4.4분기 84.35% 등이었다.
이 그룹은 입법.사법.행정부의 1급이상 공무원, 기업체 임원, 국회의원, 지방의원, 구청장, 부시장급 이상의 지자체 고위직 등을 말한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그러나 `일반 사무직' 그룹의 주택소유비율은 67.08%로 2년전의 64.68%에 비해 2.40%포인트가 올라가는데 머물렀고 `기술공 및 준전문가' 그룹은 64.19%에서 66.97%로 상승하는데 그쳤다.
`서비스근로자 및 상점.시장 판매근로자' 그룹은 59.72%에서 64.55%로 4.83%포인트가 올라갔다.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그룹은 63.09%로 2년전의 61.47%보다 1.62%포인트가 상승했으며 `기능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그룹은 58.77%에서 59.99%로, `단순노무직 근로자' 그룹은 57.46%에서 60.15%로 각각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