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7648
'중개업소 동맹휴업' 전국으로 확산 조짐
'중개업소 동맹휴업' 전국으로 확산 조짐
5만여 업소 "부동산정책 실패 책임 떠넘긴다" 반발
부동산 시장이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서울 강남과 분당·용인 일대의 아파트값 급등세는 진정 기미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정부·정치권의 정책 혼선으로 국민들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불신은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여기에 부동산 중개업자들의 전국적인 동맹휴업 움직임까지 가세하면서 부동산 시장의 혼란은 당분간 이어질 분위기다.
전국부동산중개업협회(이하 전부협) 서진형 연구팀장은 9일 “간부회의에서 전국 차원의 휴업을 적극 검토하자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으며, 이달 중 이사회를 열어 최종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국 7만3000여개 중개업소 중 전부협 소속은 5만여개다.
이에 앞서 지난 8일엔 서울 송파구 일대 1000여개의 중개업소들이 동맹 휴업을 선언했으며, 이날까지 모두 500여 업체들이 휴업에 돌입해 있다.
중개업소들의 동맹 휴업 움직임은 정부를 겨냥한 ‘집단 반발’의 성격이 강하다는 관측이다.
전부협 양소순 실장은 “최근의 부동산 과열 현상은 정부의 잘못된 부동산 정책에서 나온 것”이라며 “그런데도 건교부 고위 간부가 부동산 중개업자들이 과열 현상의 주범인 양 얘기하면서 우리를 실패한 정책의 희생양으로 몰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지역 부동산 정책의 두 축인 건교부와 서울시는 이날도 뚜렷한 시각차만 드러낸 채 공방전만 이어가 국민들의 불안감만 커졌다. 정치권의 여야 역시 9일 열린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부동산 정책의 문제점은 한 목소리로 지적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내놓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