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6612
공지시가 어디가 얼마나 올랐나
건설교통부가 27일 발표한 공시지가 내역을 살펴보면 땅값이 크게 상승한 곳은 행정중심 복합도시 건설이 추진되는 충청권과 신도시 및 택지개발지구가 밀집된 경기 지역이었다. 유통단지 예정지 등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의 지가 상승도 두드러졌다. 행정중심 복합도시 건설이 추진되는 연기와 공주가 각각 59.35%, 49.94% 올랐다. 이곳은 본격적인 행정수도 이전 계획 추진 이후부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곳이었다.
특히 충남 태안 일대 땅이 86.28% 급등, 충청권에서 가장 많이 올랐다. 아산도 64.8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행정수도 건설뿐만 아니라 신도시 건설이란 호재가 땅값 상승에 한몫을 했다. 천안(55.47%)도 두드러진 상승률을 보였으며 입지 후보지로 거론됐던 충남 계룡(38.76%), 충북 진천(33.39%), 음성(36.67%)도 상승률이 컸다.
이밖에 충북 옥천(37.80%), 증평(31.48%), 충남 부여(38.26%), 홍성(31.38%), 예산(52.33%) 등 충청권 전역이 각종 호재를 등에 업고 들썩거렸다.
택지개발지구 중에는 2기 신도시가 건설되는 배후지역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동탄신도시가 들어서는 화성이 76.18% 올랐다. 김포신도시가 조성되는 김포는 60.60%, 파주신도시의 영향을 받은 파주는 58.70% 올랐다.
수원 팔달구(19.99%)는 이의신도시 개발, 성남 분당구(28.73%)는 판교신도시 개발이 호재로 작용해 주변 다른 지역보다 상승률이 컸다. 전국 물류유통단지로 지정된 경기 평택은 미군기지 이전 호재까지 겹치면서 79.11% 뛰었고 이어 여주(38.11%), 광주(33.41%), 제천(27.76%) 등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은 전국 평균보다 훨씬 낮은 평균 11.28%의 증가율을 기록한 가운데 미군기지 이전과 고속철 개통 등 각종 호재가 집중된 용산구(19.37%)가 가장 많이 올랐다. 또 은평구(17.43%), 마포구(15.46%), 서대문구(14.88%) 등 뉴타운 지역들의 상승률이 평균을 웃돌았다.
서울 강남이 강북보다 땅값이 비싸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전국 상위 10위권의 공시지가 지역은 모두 강북의 중구와 종로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용도지역별로는 관리지역 38.43%, 농림지역 30.92%, 자연환경보전지역 29.95%, 녹지지역 28.33% 등의 상승률을 보였다. 지목별로는 밭(34.38%)과 논(33.25%), 임야(25.22%), 공장용지(18.15%), 대지(9.37%) 순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