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6848
[2·17 대책후 부동산시장 총점검]고양 삼송지구…투자자 시세 분위기만 살펴
【고양=박승덕기자】“문의는 늘었지만 2중, 3중의 규제 때문에 실제 거래가 쉽지 않다.” “투자자들 보다 언론의 관심이 더 높은 것 같다.” 경기 고양시 삼송동 J공인 사장의 설명이다.
지난 17일 정부가 수도권 3곳을 판교수준의 미니신도시로 개발하겠다는 주택시장 안정대책을 내놨지만 지난 주말 고양시 삼송지구(148만평)의 현지 분위기는 비교적 차분했다.
지난해 2월 이미 토지투지지역으로 지정돼 양도세 부담이 증가한 데다 대부분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이어서 토지 60평 이상을 거래할 땐 허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지하철 3호선 삼송역 인근 팔팔공인 윤신덕 사장은 “35년 동안 그린벨트로 묶여 있던 곳이고, 토지거래허가구역·토지투기지역으로 지정돼 있어 투자자들이 투자할 틈이 없었던 곳이다”라고 잘라 말했다.
◇호가만 강세, 거래는 잠잠=삼송지구 주변 토지거래는 대부분 지난 2003년과 2004년 2월 토지투기지역 지정 전까지 이뤄졌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가격도 대부분 이때 많이 오른후 횡보를 보이고 있다.
택지지구에 포함되지 않은 관리지역 논·밭은 평당 80만∼100만원을 호가하고 있다. 지난 2002년까지만 해도 평당 30만∼40만원에 머물던 땅이다. 대로변 사거리 주변은 평당 150만∼200만원까지 호가하고 있지만 투기지역 지정 후 매물이 자취를 감췄다. 지하철 3호선 삼송역 주변 상가와 단독주택 밀집지역의 경우 택지지구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역세권 프리미엄’이 예상돼 호가만 강세를 보이고 있다.
건물을 제외한 상가 대지가 평당 1500만∼2000만원을 호가하고 있지만 매물이 없다. 삼송역과 조금 떨어진 단독주택 대지는 평당 600만원을 호하고 있다. 지난해 2월 평당 400만∼450만원선에 거래됐던 점을 감안하면 호가만 50% 가까이 뛴 셈이다.
삼송동 삼보공인 이석철 대표는 “역세권 상가 가격은 2∼3년전부터 형성된 가격이지만 매물을 내놓는 사람이 없다”며 “20년 동안 삼송동에서 중개업을 했지만 직접 거래한 상가는 지금까지 고작 2건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삼송지구가 개발될 경우 역세권 개발압력이 커질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아예 매물로 내놓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상가는 물론 삼송역세권 단독주택지도 호가만 오르고 거래가 쉽지 않다. 택지지구에 포함안된 40∼60평 규모의 단독주택지 가격은 평당 호가 600만원을 감안하면 2억4000만∼3억6000만원선이다. 하지만 최근 지축동 단독주택 경매가는 평당 500만원선이었다는 것이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따라서 평당 500만원을 넘는 가격에 단독주택을 사겠다는 사람이 드물어 거래가 쉽지 않다.
◇투자자들 입질만 소폭 늘어=지난 19일 지축동 우림부동산 사무실에선 서울에서 왔다는 투자자 김모씨가 택지지구에 포함되지 않은 주택 가운데 나온 매물을 찾았다. 중개업소 관계자가 “삼송역과 가까운 곳에 평당 600만원에 나온 매물이 하나 있다”고 소개했다. 10분 뒤 이 사무실에는 서울에서 왔다는 또다른 투자자 이모씨가 들어왔다. 그는 “땅을 보러 왔는데 택지지구내 토지와 수용지역 밖 토지 가운데 어느 것이 좋은가?”라고 물었다.
중개업소 관계자는 “택지지구에 포함되지 않은 땅이 좋다”며 이모씨에게 향후 개발계획을 설명하기 시작했다. 하루뒤인 20일 오후 기자가 중개업소에 거래여부를 확인해 보니 팔리지 않았다. 중개업소 관계자는 “현지 시세와 분위기를 보기 위해 들른 사람들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여윳돈을 가진 투자자들이 시장을 관망하고 있어 실제 거래까지 이어지기가 어렵다”고 전했다.
삼송역세권에 있는 강남컨설팅 박종만 이사는 “삼송지구에 포함되지 않은 삼송역세권 취락지의 경우 1종 주거지역으로 묶여있어 4층 이상 짓지 못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