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 로그인 | MY스크랩 | 사이트맵   

   부가서비스
      부동산관련 서식
  부동산 서식
  등기관련 서식
  부동산 용어
  중계 수수료
  부동산 일반 상식
  계약서 관련 상식
  법규 관련 상식
  세무 관련 상식
      기타자료실






      전국공시지가조회


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5431  
    중견 주택업체 3곳중1곳 "올 공급계획 확정못해"
대부분의 중견 주택업체는 올해도 부동산 시장 침체와 집값 하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고 3곳 중 1곳은 올해 공급계획을 아직까지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중견 주택건설업체들의 모임인 대한주택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3~13일 전국 72개 회원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주택공급계획에 대해 ‘미정’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36%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수준을 유지한다’는 응답은 26%, ‘축소한다’는 응답은 24%를 각각 차지한 반면 ‘확대할 것’이라는 응답은 14%에 그쳤다.

올해 전반적인 부동산시장 동향에 대해서는 ‘지난해에 이어 침체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한 응답자가 전체의 70%에 달했고 ‘하향안정세’라는 응답이 22%를 차지했다. ‘회복’(6%)이나 ‘상승’(1%)을 예상한 응답자는 소수였다.

올해 집값에 대해서는 61%가 ‘완만한 하락국면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고 ‘상반기 이후 상승국면으로 전환한다’는 응답과 ‘보합권을 유지한다’는 응답은 각각 20%, 18%를 차지했다.

또 올해 부동산 전반을 좌우할 가장 큰 변수로는 ‘정부 부동산정책 강도’(49%)와 ‘실물경제 회복 여부’(43%)를 많이 꼽았고 그밖에 ‘판교 신도시 분양’(7%)도 꼽혔다.

올해 시행 예정인 주택규제 중 시장에 가장 악영향을 미칠 정책으로는 실거래가신고의무화(36%)가 우선적으로 지적됐고 분양가상한제(23%), 주택가격공시제도(18%), 재건축개발이익환수제도(11%), 공공택지 채권입찰제(7%) 등이 차례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시급히 해제하거나 완화해야 할 규제로는 ‘분양권 전매제한’(45%)이 1순위로 꼽혔고 주택 및 토지투기지역 지정(21%), 지방권 투기과열지구 지정(17%), 주택거래신고제(10%), 재건축 규제(7%)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부동산시장을 견인할 상품을 묻는 질문에는 토지(37%), 신규분양 아파트(22%), 중형 임대주택(18%), 오피스텔ㆍ주상복합주택(8%), 전원ㆍ실버주택(7%) 등의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이종배 기자 ljb@sed.co.kr


자료발췌 : 서울경제
등록일 : 2005-01-21
성남거주 일반 1순위도 '1,400대 1'
외국인 '서울시내 땅 매입' 둔화

회사소개 | 제휴안내 | 광고문의 | 개인정보보호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상호명 : (주)부동산게이트 사업자등록번호 : 123-22-85264 통신판판매업신고 : 2012-서울금천-0030호
소재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60-24 월드메르디앙 1차 1522
고객지원 : 전화 02-518-8777, 팩스 02-830-4489
Copyrightⓒ2000-2019 부동산게이트 All Rights Reserved. e-mail to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