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5646
판교 ‘청약전략’ 헷갈리네
판교 청약을 위해 동탄신도시 청약을 포기했던 최현진씨(35·경기 성남시 중원구)는 요즘 용인이나 광주 인근의 미분양물량을 찾고 있다.
판교 당첨 확률이 로또 수준인 데다 판교 분양만 기다리다 내집 마련의 호기를 놓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그는 집값이 떨어지는 지금 내집을 마련하는 게 더 유리한지 고심하고 있다.
최씨는 “가구수가 줄어든다, 분양 일정이 늦춰진다는 이야기가 계속 나오면서 판교 청약을 기다리기가 불안하다”면서 “지난 6월 동탄신도시 모델하우스를 갔을 때 청약을 하지 못한 것이 후회스럽다”고 말했다.
수도권 청약시장의 ‘블랙홀’로 불리는 판교신도시 분양계획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실수요자들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수도권에서 분양을 준비하고 있는 주택업체들도 사업계획 마련 지연 등 불만이 높아가고 있다.
우선 당초 내년 6월에 이뤄질 예정인 5,000가구의 시범단지 분양이 불투명하다. 건설교통부는 수차례 “내년 6월 분양에는 차질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들과 건설업계에서는 그동안 보상작업 등이 늦어지면서 내년 말에나 가능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게다가 판교톨게이트 확장 이전에 시일이 걸려 내년 6월까지도 공사 마무리가 쉽지 않다. 이럴 경우 동시분양보다는 개별업체 일정에 따라 분양되고 그 규모도 2,000~3,000가구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개발밀도 문제 역시 시범단지 분양 일정을 확정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어 정확한 공급가구수 산출이 어렵다. ha당 96명, 용적률 150%로 신도시 환경영향평가를 받고 있지만 건설교통부와 환경부의 이견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 분양아파트나 임대아파트가 얼마나 될지는 추측에 불과한 실정이다.
반면 청약과열을 막기 위한 각종 규제는 판교신도시에 엄격하게 적용된다. 원가연동제와 채권입찰제가 내년 초부터 시행되면 전용면적 25.7평 이하 아파트는 계약 이후 최대 5년까지 사고 팔지 못한다. 또 10년 동안 재당첨을 금지하는 등의 규제도 받게 된다.
주택업체들도 속이 타기는 마찬가지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판교 대기수요로 동탄, 화성 태안, 용인 등에서 쓴 맛을 봤던 주택업체들은 판교신도시의 초기 분양 물량과 일정 등이 조속히 확정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주택업계는 개발사업 진행 속도는 감안하지 않은 채 발표되는 공급계획으로 분양시장이 더 침체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한 대형 주택업계 관계자는 “판교신도시는 수도권 시장의 악재이기도 하지만 얼어붙은 시장을 녹일 유일한 호재”라면서 “판교 분양이 조속히 가시화돼야 잠재된 수요를 끌어들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