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6321
반포·서초 아파트 재건축 난항…市 도시계획위 용적률 결정 또 보류
서울 서초구 반포·서초아파트지구 재건축 사업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두 차례나 보류되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
서울시는 10일 제18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반포·서초아파트지구개발기본계획에 대해 논의했으나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안건을 보류했다. 반포·서초아파트지구 안건은 지난 17차 위원회에서도 보류된 바 있어 사업 추진 여부 자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반포 지구는 서초구 반포·잠원동 일대 46만평 넓이로, 신반포 아파트 등 38개 단지 173개 동에 1만8000여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경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계획된 36만평 넓이의 서초지구에는 우성아파트 등 20개 단지 133개 동에 1만2000여가구가 살고 있다.
두 지역 모두 공원·녹지구역과 도로를 확충하는 방향으로 기본계획이 상정돼 있다. 하지만 용적률 측면에서 시와 주민간의 의견차이가 발생했다.
그동안 서울시는 이들 지구의 허용 용적률을 220%로 제시했다. 하지만 서울시의회는 다른 지역의 재개발 사업구역보다 도로·공원·녹지·학교 등 도시기반 시설이 양호한 것으로 보고, 서울시의 기본계획보다 10% 상향 조정한 230% 이하로 용적률 적용을 권고했다.
반면 일부 주민들은 재건축에 들어갈 경우 일반분양을 늘려 조합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용적률을 250% 이상으로 높여줄 것을 요구해왔다. 반포 고밀도지구의 경우 재건축 대상 아파트의 현행 용적률이 평균 177.3%이므로 용적률을 220%로 하면 1대 1 재건축사업밖에 할 수가 없다는 논리다.
서울시 관계자는 “용적률 220∼250% 범위에서 교통량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철저한 파악을 거쳐 다시 한번 안건을 보류하게 됐다”며 “주민들의 요구사항도 있어 신중하게 문제를 풀어나아가기 위한 모습으로 생각해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