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5563
수도권 반사익…자금 U턴 가능성
['10.21 위헌' 쇼크] 부동산 유동자금 어디로
충청권 처분문의 속출…분양사업 수정 불가피
개발호재 확실한 판교ㆍ평택등 토지 가장관심
충청권으로 몰렸던 부동산 유동자금의 다음 행로는 어디가 될까? 신행정수도 이전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이른바 부동산 투자자금의 행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새로운 모멘텀으로는 기업도시가 부상하고 있다. 수도권과 강원 원주 등지로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수도권시장은 투자자들이 회귀하면서 끊겼던 매물 문의가 되살아는 분위기다. 평택과 용인 등지의 토지시장은 물론이고 인천이나 동탄, 발안 등지의 신규분양시장엔 수요층의 관심이 차츰 살아나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인 시장침체를 감안할 때 부동산시장이 재차 달아오르기는 역부족이다. 오히려 정책불신에 이어 수급불균형까지 겹쳐 부동산시장은 재차 홍역을 겪을 수도 있다.
◆풍선효과, 수도권 관심 집중=21일과 22일 수도권 중개업소 사무실은 모처럼 분주한 상태. 토지나 상가, 신규분양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갑자기 불어났고 실제로 유망투자 지역을 묻는 상담이 이어졌다. 용인 삼강부동산 관계자는 "법원경매 외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던 투자자들이 신갈이나 기흥권의 토지투자와 전망 등에 관심을 보인 전화 상담만도 10여건을 넘었다"고 설명했다. 개발호재가 확실한 판교나 용인, 평택 등지의 토지시장이 최고의 관심사다. 주택시장도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 서울권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2차 분양이 진행되고 있는 동탄신도시 오산천 주변의 모델하우스에도 평소 2, 3배에 달하는 사전예약 가능 여부를 묻는 전화가 이어졌다. 오산 대림이나 대우의 미분양 아파트 계약도 이날 하루 서너건에 달했다. 22일 오픈한 인천 시청 앞의 논현 신영지웰 모델하우스는 5000여명의 내방객이 몰려 북새통을 이뤘다. 평당 710만원대를 넘는 중대형 고급웰빙 아파트인 데다 인천 지역의 최근 미분양 등을 감안하면 기대치 이상의 수요층이 몰린 것.
신영 최상규 부장은 "충청권으로 빠진 부동산 자금이 서울과 수도권으로 회귀하는 움직임이 나타날 공산이 크다"며 이번 위헌판결은 수도권 투자자들에게 심리적 안정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내다봤다.
◆충청권 당분간 패닉상태, 불가피='무조건 팔아주세요.' 청주나 대전, 조치원 등을 중심으로 토지나 분양권 매물이 속출하면서 시장이 패닉상태에 빠져들고 있다. 사려는 사람은 없고 팔려는 문의만 이어지는 거래공백상태가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기군 조치원읍과 전의면, 전동면 등 신행정수도 배후지역으로 개발될 것으로 기대되면서 땅값이 3, 4배 이상 올랐던 이들 지역은 가격마저 형성되지 않고 있다. 연기군 조치원읍 대산공인 이세영 중개사는 "그나마 신행정수도가 밑바침이 돼 보합세를 유지해 왔으나 21일 이후 매도문의만 이어지고 있는 추세"라며 연기군 전체의 부동산 가격이 급격히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여파는 부여, 금산 등과 충북 옥천, 음성, 진천 등지로 파급, 계약해지소송 등 심각한 투자후유증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신행정수도 배후도시로 반사이익을 봐왔던 대전 공주 천안 등의 주택시장도 급성 몸살에 빠져들었다. 6주 연속 하락세를 면치 못했던 이들 지역의 주택가격은 추풍낙엽으로 변할 공산이 크며 분양시장 역시 붕괴직전으로 몰릴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때문에 연말까지 청주와 대전에서 21개 단지 1만6000여가구를 분양예정이던 16개 주택건설업체들은 사업재검토에 들어갔으며 기분양한 업체들은 투자자 이탈에 따른 대책마련에 착수한 상태다.
◆투자 혼란기, 급매물 눈여겨볼 때=시장혼란이 가중되면서 투자선호지역이 크게 뒤바뀔 것이나 시장이 침체에서 벗어나기는 여전히 힘들 전망이다. 겨울 비수기에 접어들고 있는 데다 경기부진과 공급과잉 여파가 여전히 시장을 짓누를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때문에 급매물이 늘어나면서 거래공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책 신뢰성 상실과 경기불안 등으로 인한 투자혼란기가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다. 따라서 급매물 투자에 적극 나서는 것이 유리한 투자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서울권의 경우 재건축이나 리모델링 규제강화로 주택공급 규모가 예년의 70% 이상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한 여파는 향후 3년 뒤 정권교체기와 맞물려 재차 가격불안을 빚어낼 공산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