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5540
리모델링 사업 줄줄이 제동
정부가 23일 아파트 리모델링 증축범위를 전용면적 20% 이내, 최대 7.6평으로 제한키로 함에 따라 리모델링 사업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정부 방침대로 리모델링 추진단지의 증축범위를 20% 이내로 할 경우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재건축을 추진하다 최근 리모델링으로 전환키로 했던 서울 도곡동 동신아파트는 사업추진이 사실상 어렵게 됐고, 잇따른 규제로 리모델링 전환을 모색했던 다른 재건축 단지들도 사업추진에 제동이 걸리게 됐다.
동신아파트 시공사인 쌍용건설 관계자는 “콘크리트 건물은 민법상 55년을 사용하게 돼 있다”며 “재건축 판정을 받았으니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는 건교부 발표는 말도 안되며 리모델링 공사를 하면 내진 설계가 같이 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오히려 크게 강화된다”고 주장했다.
정용기 동신아파트 리모델링 조합장은 “재건축이 어려워 리모델링으로 전환했는데 이마저도 못하게 하면 어떻게 하느냐”면서 ‘정부는 숨통은 틔워주면서 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대형건설사의 리모델링 팀장은 “대부분 리모델링 사업은 30% 정도 증축이 이뤄지는데 20% 이내로 제한하면 사업성이 크게 떨어진다”며 ‘재건축 대안으로 리모델링을 장려하더니 이제와서 리모델링까지 규제를 강화하면 어쩌란 말이냐”고 하소연했다.
부동산정보업체들에 따르면 최근 재건축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리모델링 추진 단지들이 급증, 현재 서울에서만 20여곳 2600여가구가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내집마련정보사 김영진사장은 “리모델링 규제 방안이 발표되면서 최근의 리모델링 확산세는 다소 주춤하겠지만 재건축의 마땅한 대안이 없기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리모델링 시장 전망은 밝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