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5433
도심 '문화거리'에 대형아파트 건설 웬말?
화랑, 고서가 수십 곳이 밀집돼 있는 대구 봉산문화거리 한 가운데 재개발 아파트가 건축 중이어서 문화거리 훼손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대구시 중구 봉산동 봉산문화거리 일원에는 오는 2006년 완공을 예정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1만2천500여㎥ 부지에 3개동 20층 규모의 주공아파트 건설이 한창이다.
그러나 이 일대 600m 구간은 지난 91년부터 관할 행정기관인 대구 중구청과 문화관광부가 공식 문화거리로 지정한 뒤 시내 각지에 흩어져 있던 문화업소들이 밀집,
현재 화랑 20곳을 비롯해 고서가, 표구사 등 50여개의 관련업소들이 들어서 있다.
특히 대구시 등의 지원 아래 미술제나 도자기축제와 함께 각종 전시회가 수시로열리고 있으며 올들어 중구청이 이 거리에 172억원의 예산을 들여 문화회관을 완공하는 등 도심의 대표적인 문화거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공아파트 건설이 진행되자 시민들은 문화거리 훼손에 대한우려와 함께 당국의 일관성 없는 행정행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일대에서 고서가를 운영하는 김모(59)씨는 "장차 문화의 도시로 거듭나야 할 대구가 약령시와 함께 도심의 대표적인 손꼽히는 테마거리를 도태시키고 있다"며 "시.
구의 문화행정 역량에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시민 최모(45)씨도 "앞으로 아파트가 들어서게 되면 한때 `차 없는 거리'까지추진돼 왔던 문화거리가 자동차와 기타 상가들로 번잡해질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 중구청측은 "주공아파트 건설은 지난 96년부터 일대 주민들의재개발 요구에 따른 것"이라며 "단 아파트와 문화거리 경계 지점에 상가를 조성, 문화관련 업소 위주로 영업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상황에 따라 우회 진입로도 만들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대구시 문화예술과의 한 관계자는 "재개발 아파트 건립은 대구시의소극적인 문화사업 의지가 드러난 사례"라며 문제가 있음을 시인했다.
그는 "서울 인사동 화랑 골목처럼 문화거리를 제대로 육성.보호하기 위해서는관련조례 제정 등 제도적 장치 마련과 함께 문화도시에 대한 포괄적인 마스터플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