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입니다. 본 정보에 대해서 (주)부동산게이트는 기재된 내용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주)부동산게이트의 동의없이 재 배포할 수 없습니다. 관련없는 내용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조회 : 5425
신행정수도 토지보상 내년 말 본격화
"신행정수도 예정지에 대한 토지보상 착수시점은 내년 초가 아니라 내년 말 입니다"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회(공동위원장 국무총리.김안제 서울대 교수)는 7일 "신행정수도 예정지 충남 '연기.공주' 지역에 대한 토지보상 착수시점은 일러야 내년 말"이라고 거듭 밝혔다.
추진위가 이번에 토지보상 착수시점을 다시한번 강조한 것은 예정지역 주민들은 물론 일반 국민도 당장 내년 초부터 토지보상이 시작되는 줄 잘못 알고 있기 때문으로, 토지보상 착수시점에 관한 혼선과 이로인한 선의의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추진위는 현재 지번, 지목, 편입면적, 소유관계 등을 구체화하는 토지세목조사와 함께 예정지 및 주변지역 경계설정 작업을 벌이고 있는데 11월까지 이 작업을 모두 끝낸 뒤 주민공청회 및 관게기관 협의 등을 거쳐 12월께 예정지와 주변지역을 공식적으로 지정, 고시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 1∼7월 토지보상을 위한 기본조사를 실시한 뒤 8∼11월 보상액을 산정하고 보상시기 및 방법, 절차 등을 담은 구체적인 보상계획을 공고할 방침이다.
따라서 개인별 보상협의는 이르면 내년 12월, 늦으면 2006년 초나 돼야 시작될 수 있을 전망이다.
토지보상은 올해 1월1일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이뤄진다.
한편 신행정수도 예정지는 약 2천160만평 규모로 임야 920만평, 농지 740만평, 공공용지 370만평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약 3천900가구, 1만2천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추진위는 현재 토지보상비로 약 4조6천억원을 책정해 놓고 있는데 시세반영 비율 등에 따라 토지보상비 규모는 더 늘어날 수도 있을 전망이다.
추진위 관계자는 "신행정수도 예정지 주민들조차 토지보상 착수시점에 관해 잘못 알고 있다"면서 "이달중 해당 지자체 및 주민들을 대상으로 토지보상계획에 관한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
2004.09.07 06:29 입력